iPod touch나 iPod과는 달리, iPhone은 하나의 컴퓨터와만 동기화를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딱 한대 있으신 분들이야 뭔 상관이겠냐만은 이게 또 그렇지 않습니다. 보통, 직장인인 경우 회사에 한 대, 집에 한 대씩 매일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사용하시게 될 가능성이 크겠죠? 아마 정보도 각각 다른 내용이 들어있을 가능성이 크구요. 하지만, 조금만 꼼수를 쓰면 여러대의 컴퓨터에서 iPhone에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불만똥돼지'님의 블로그에(http://kaizenworld.tistory.com/) 있는 글을 Mac 사용자 용으로 살짝 개작(이라 말하고 베꼈다고 읽습니다)한 포스팅입니다.
먼저, 동기화한 Mac이 아닌 다른 Mac에서 iPhone에 음악 파일을 넣으려고 시도해 봅니다. 역시 안되네요. 파일을 드래그하려면 나오는 '+' 마크가 보이지 않죠?
동기화 하려고 해도, iPhone의 컨텐츠를 싹 날려야 합니다. 두 컴퓨터의 내용을 다 똑같이 맞출 수도 없고... 이것은 iTunes의 Library Persistant ID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결론만 간단히 말하자먼, 아이폰과 동기화 하고자 하는 모든 컴퓨터의 Library Persistant ID를 똑같이 바꿔주기만 하면 그 컴퓨터와는 동기화를 할 수 있는게죠.
먼저, '음악' -'iTunes' 폴더로 이동합니다. Library Persistant 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은 iTunes Music Library.xml 파일과 iTunes Library.lib 파일 두개입니다. 먼저, iTunes Music Library.xml 파일을 한번 열어봅시다. 특별한 에디터 소프트웨어로 여실 필요 없이 '텍스트 편집기'면 충분해요.
그림 중간에 <key>Library Persistent ID</key> 옆에 있는 숫자가 보이시죠? 이게 바로 Library Persistant ID입니다. 이 부분을 동기화된 컴퓨터의 iTunes Music Library.xml 내의 Library Persistant ID로 바꿔주면 되는겁니다. 만약을 대비해 원본은 꼭 백업해 두시는게 필수란건 아시죠?
이제는 iTunes Library.lib 내의 Library Persistant ID를 바꿀 차례입니다. iTunes Library.lib 파일은 텍스트 에디터로는 열 수 없습니다. iTunes Library.lib는 16진 코드로 된 파일이기 때문에 HexEdit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불만똥돼지님은 글에 Windows용 HexEdit 설치 파일을 첨부하셨는데, HexEdit는 다행히도 Mac용으로도 있더군요. 여기를 누르셔서 내려받으세요.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HexEdit에서 iTunes Library.lib를 여신 후, [command]+[F]를 눌러 바꾸기 전의 Library Persistant ID를 'Find:'에, 바꿀 Library Persistant ID를 아래에 넣습니다. 이 상태에서 'Replace'를 누르면 작업 끝. 이제 iTunes를 한번 재시동해 주시면 됩니다요.
이제 원하는 Mac에서는 모두 iPhone을 동기화 시킬 수 있게 됐습니다!! 만쉐이!
'iPod & iPh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hone, 나 길좀 찾아주라 (8) | 2009.12.08 |
---|---|
아이폰을 USB모뎀으로 활용하자 (15) | 2009.12.08 |
본격 전화국 방문해 iPhone 개통 실패한 이야기 (12) | 2009.11.30 |
iPhone과 잘 어울리는 애플의 인이어 헤드폰 개봉기 (4) | 2009.11.30 |
비 맞아가며 받아온 iPhone 개봉기 (9) | 2009.11.30 |